KIST, 줄기세포 보호·효과 극대화 주사법 개발

KIST 연구진 개발 단백질 차단막 적용 바이오센서로 즉각적인 정밀 헬스케어 가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은 생체재료연구센터 이관희, 정영도 박사팀이 고려대학교 강석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단백질 차단막을 적용한 전자기기 기반의 바이오센서를 제작, 차단막의 표면 전하를 조절해 혈청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전자기기 기반의 바이오센서를 통해 혈청에서 즉각적으로 질병 인자를 검출할 수 있다.

혈액에서 분리해낸 혈청은 많은 생체정보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질병 진단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혈청은 약 2만 종류의 각각 다른 단백질들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어 검출 신호의 오류가 빈번하고 측정 민감도가 낮다. 현재 의료기관에서는 전문 인력을 통해 혈청의 전처리 또는 후처리 후에 진단기기를 이용해 분석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진은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혈액에서 분리한 혈청에서 전·후처리 없이 직접 질병인자를 검출해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단백질 차단막을 개발, 전자기기 기반 바이오센서에 적용했다. 우선 차단막을 형성하는 단백질 원료가 본래 가진 정전기적 속성을 활용해 차단막의 표면 전하를 중성으로 조절했다. 이를 통해 질병 진단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정전기적 특성에 의한 혈청 단백질의 비특이적 결합과 전하의 불필요한 축적을 방지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연구진은 단백질 차단막이 적용된 바이오센서로 전립선암 질병인자를 혈청에서 직접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의 전·후처리를 포함하는 측정결과와 동일한 검출 능력이다.

정영도 박사는 “기존의 전자기기 기반의 바이오센서가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는 휴대용 기기와의 결합 등을 통해 현장 진단 또는 자가진단 센서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단백질 차단막을 도입하면 향후 스스로 정밀한 질병 진단이 가능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가 개발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관희 박사도 “이번 연구 성과는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전자공학, 재료공학과 화학 분야의 융합 원천 기술로, 향후 의료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상용화 기술로의 전환을 기획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출처 : 아시아경제 2019.10.31]

https://www.asiae.co.kr/article/2019103109072600691